git commit 메시지는 크게 제목, 본문, 꼬리말 세가지 파트로 나누고, 각 파트는 빈줄을 두어서 구분 합니다.

<type>[적용범위(선택 사항)]: <subject>

[본문(선택 사항)]

[꼬리말(선택 사항)]

1. 제목

 - : 뒤에만 space가 있음

 1) commit type

 2) subject

 - 제목은 50자를 넘기지 않고, 첫 글자는 대문자로 작성하고, 마침표를 붙이지 ㅇ낳음

 - 과거 시제를 사용하지 않고 명령어로 작성

  예) Fixed -> Fix, Added -> Add


2. 본문

 - 선택 사항이기 때문에 모든 커밋에 본문 내용을 작성할 필요는 없음

 - 부연 설명이 필요하거나 커밋의 이유를 설명할 경우 작성, 어떻게 했는지가 아니라, 무엇을 왜 했는지를 작성.

 - 한줄에 약 72자를 넘기지 않고 줄바꿈

3. 꼬리말

 - 선택 사항이기 때문에 모든 커밋에 꼬리말을 작성할 필요 없음

 - 이슈 트렉커 ID를 명시하고 싶은 경우에 작성

4 예제

feat: 여기에 최대 50자까지 변경 사항에 대해 설명하세요

필요하다면 여기에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세요. 한 줄당 대략 72자까지 맞출 수 있도록 합니다.
일부 상황에서 첫 줄은 커밋의 제목이 되고, 그 후에 작성되는 텍스트는 본문으로 취급됩니다.
제목과 본문을 나누는 중간에 삽입되는 공백 행은 매우 중요합니다 (본문을 완전히 생략하지 않는 이상); `log` 와 `shortlog`, `rebase` 와 같이 다양한 도구들은 공백에 의존하므로 두 부분을 합쳐버릴 경우 도구가 혼동할 수 있습니다.

이 커밋이 해결하고자하는 문제를 설명합니다. 어떻게 했는지보단(코드가 설명할 것이기 때문), 왜 변경 사항을 적용했는지에 대해 집중합니다. 이 변경 사항으로 인해 생기는 부수 효과가 있거나 다른 직관적이지 않은 영향이 있을 수 있다면 여기에 설명하세요.

앞으로 추가되는 문단은 공백 행 뒤에 옵니다.

- 필요하다면 강조점을 써도 됩니다

- 하이픈(-) 또는 별(*)이 주로 강조점으로 사용되고 이후 단일 공백(space)을 삽입합니다
  강조점 사이에는 공백 행을 넣지만 규칙은 언제든지 바꿀 수 있습니다

이슈 트래커를 사용한다면 다음과 같이 레퍼런스를 메시지 하단에 삽입하세요:

이슈: #123
같이보기: #456, #789

 

출처 : https://overcome-the-limits.tistory.com/entry/%ED%98%91%EC%97%85-%ED%98%91%EC%97%85%EC%9D%84-%EC%9C%84%ED%95%9C-%EA%B8%B0%EB%B3%B8%EC%A0%81%EC%9D%B8-git-%EC%BB%A4%EB%B0%8B%EC%BB%A8%EB%B2%A4%EC%85%98-%EC%84%A4%EC%A0%95%ED%95%98%EA%B8%B0

'개발툴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commit 메시지 템플릿 설정하기  (0) 2021.12.14
Posted by gt1000

프로젝트 규모가 커지면서 가장 고민스런 부분이

package 관리였다.

전통적인 계층형, 기능으로 구성하기 등

어느 하나 맘에 드는게 없었다.

이 책에서는 육각형(hexagonal) 아키텍처로 이 고민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좋은 내용인데....

매 기능마다 adapter, domain, application 을 가져 간다는게.....

패키지명이 너무 중복 같은데, 이 부분에 대한 고민은 별로 없는거 같다.

이런 중복 보다는 구조에서 오는 이점이 더 크서겠지....

case by case 라지만...... 여전히 패키지 구조를 어떻게 가져 가야 할지 모르겠다.

 

그동안 별 생각없이 넘겼던

package private 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된거 같다.

 

좋은 책이다. 읽어 보길 권장한다.

Posted by gt1000

프로페셔널 제품 책임자 스크럼을 활용한 경쟁력 있는 제품 개발

 

지라 프로젝트를 스크럼 방식으로 관리해 보려고

[ 쉽게 배우는 Jira Project ] 라는 책을 샀지만, 내용이 너무 빈약해서

스크럼을 공부하기 위해 산책.

최근 구직 활동을 위해 이력서를 내면 대부분의 회사들이 애자일을 필수 조건으로

요구하고 있다.

몇권의 애자일 책을 읽은적은 있지만, 한번도 경험해 보지도 못했고, 애자일이 뭔지도 모른다.

 

이 책 역시 내 갈증을 하나도 풀어 주지는 못한거 같다.

제품 책임자가 뭔지는 알게 된게 소득 같다.

Posted by gt1000

블로그 이미지
gt1000

태그목록

공지사항

어제
오늘

달력

 « |  » 2025.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